지난해 12월 급격히 속도가 빨라지고 밝기가 증가하며 지구로 다가오는 혜성 ‘C/2019 Y4(ATLAS, 아틀라스)’이 발견됐다. 하와이 대학이 개발하고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지원하는 소행성 충돌 조기 경보시스템 ‘ATLAS’를 통해 발견됐다.
올해 초 NASA는 이 혜성이 1997년 헤일-밥 혜성 이후 금성이나 초승달에 버금가는 밝기로 북반구 밤하늘을 밝힐 대혜성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까지 해질 무렵 서쪽 하늘에서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 혜성은 4월 초순부터 현재까지 밝기가 급격히 어두워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혜성의 공식 명칭은 C/2019 Y4지만 보통 발견자나 발견한 시스템 이름을 붙이는 관행에 따라 아틀라스 혜성으로 명명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아틀라스 혜성이 지구에 근접한 3월 말경부터 지금까지 천문연 관측 시설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을 활용해 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 혜성의 중심 밝기가 타원형으로 일그러지고 있고 당초 예상 궤도를 약간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틀라스 혜성이 태양으로 다가가면서 쪼개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됐다.
혜성은 과거 두려움과 경이의 대상이었다. 타원 혹은 포물선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천체인 혜성은 소행성과 달리 먼지와 암석, 물 성분의 얼음 및 얼어붙은 가스로 이뤄져 있다. 소행성은 바위 등으로 구성된다. 혜성의 구성 성분으로 인해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면 내부 성분이 녹으면서 녹색빛 등의 꼬리가 생긴다.
아틀라스 혜성의 공전 주기는 약 6000년으로 현재 금성과 지구 궤도 사이에 있다. 5월 23일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다가오고 5월 31일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일점을 통과했다가 태양계 외곽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아틀라스 혜성은 현재 밤하늘의 큰곰자리 근처에 위치한 기린자리에서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하지만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5월 중순경에는 페르세우스자리 근처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 초 예상 밝기보다 감소하는 현상이 관측됐고 추가 관측을 통해 혜성의 핵이 4개로 나눠진 것으로 나타났다. NASA는 4개의 개별 조각에 대해 궤도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지난 4월 20일 허블우주망원경 촬영 결과 혜성의 핵은 최소 10개 이상으로 쪼개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아틀라스 혜성을 관측한 천문연의 OWL-Net은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가 운영하는 관측 시스템으로 인공위성과 소행성, 우주 잔해물 등 지구 주변의 우주물체를 관측하는 국내 최초 무인 광학 감시 전용 시스템이다. 한국, 미국, 이스라엘, 모로코, 몽골에 각 관측소가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은 총 5개 관측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아 총괄 관리, 운영 중이다.
천문연은 “OWL-Net으로 인해 그동안 미국에 의존하던 인공위성궤도 자료를 한국이 독자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며 “이 시스템을 활용해 한반도 정지위성 및 우주잔해물 충돌 후보를 감시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Lmh0dHA6Ly93d3cuZG9uZ2FzY2llbmNlLmNvbS9uZXdzLnBocD9pZHg9MzYzNjjSAQA?oc=5
2020-04-29 03:16:28Z
CBMiLmh0dHA6Ly93d3cuZG9uZ2FzY2llbmNlLmNvbS9uZXdzLnBocD9pZHg9MzYzNjjSAQA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