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스마트폰 최초로 UDC가 적용된 갤럭시Z 폴드3. 내부 화면 한쪽에 UDC가 적용되면서 카메라 구멍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진=윈퓨처 |

UDC는 이름 그대로 화면 아래 카메라를 두는 것을 말한다.화면을 움푹 파는 '노치'나 구멍을 뚫는 '펀치 홀'을 대체할 기술로 손꼽힌다. 하지만 기술 구현이 쉽지 않아 아직 제대로 된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볼때나 웹서핑시 거추장스러웠던 카메라구멍을 없애는 기술이다.
지난해 중국 ZTE가 세계 최초로 UDC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출시했지만, 시장 반응은 싸늘했다. ZTE 제품은 빛 번짐을 비롯해 화질 저하 문제가 심각했었다. 이 때문에 UDC 적용 여부보다는 디스플레이나 사진 품질이 어느 정도로 구현될 지가 대중화 여부를 결정 지을 요인으로 꼽힌다.
![]() |
회전식 카메라가 적용된 갤럭시A80 /사진=삼성전자 |
두 가지 모두 꽉 찬 화면을 구현하도록 해주는 기술이지만, 대중화되지는 못했다. 외부로 튀어나오는 카메라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것은 물론 기구설계 측면에서도 부피가 커지기 때문이다.
![]() |
UDC가 적용된 시제품 사용 모습. 전면에 카메라가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를 실행하면 셀피 촬영이 가능해진다. /사진=샤오미 |
하지만 아무리 투명이어도 디스플레이를 거쳐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굴절되거나 투과하는 양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는 사진 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 띄엄띄엄 채워진 픽셀은 다른 부분에 비해 선명도나 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는 UDC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
삼성디스플레이의 UPC 기술소개 영상/사진=삼성디스플레이 |
ZTE와 샤오미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 비전옥스로부터 공급받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UDC를 구현한다. 비전옥스는 최근 'InV see Pro'로 불리는 2세대 UDC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이 디스플레이는 개선된 픽셀 배열로 빛 투과량을 높여 이전 세대 의단점이던 카메라 품질을 향상하고 UDC부분 선명도도 높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 외에 화웨이에서 분사한 아너가 연내 관련 제품 출시가 예상되고 있으며, 오포도 최근 UDC 기술 문제를 해결했다며 관련 제품 공개를 예고했다. 애플은 내년 펀치 홀 디스플레이 적용이 예상되고 있으며, UDC 적용 소식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 |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N2h0dHBzOi8vbmV3cy5tdC5jby5rci9tdHZpZXcucGhwP25vPTIwMjEwODA1MTUzNDU2NzI1NzbSAT1odHRwczovL20ubXQuY28ua3IvcmVuZXcvdmlld19hbXAuaHRtbD9ubz0yMDIxMDgwNTE1MzQ1NjcyNTc2?oc=5
2021-08-05 21:00:00Z
CBMiN2h0dHBzOi8vbmV3cy5tdC5jby5rci9tdHZpZXcucGhwP25vPTIwMjEwODA1MTUzNDU2NzI1NzbSAT1odHRwczovL20ubXQuY28ua3IvcmVuZXcvdmlld19hbXAuaHRtbD9ubz0yMDIxMDgwNTE1MzQ1NjcyNTc2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