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asa, 18 Agustus 2020

정지 화면·물체 움직임 동시 관찰하는 광학 현미경 개발 – Sciencetimes - Science Times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지된 화면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공간 분해능'(초고해상도)과 물체 움직임을 잘게 쪼개 관찰하는 ‘시간 분해능'(초고속촬영)을 모두 갖춘 광학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울산과기원에 따르면 생명과학부 박정훈 교수팀은 광학 현미경 중 하나인 ‘구조화 조명 현미경'(SIM)의 공간 분해능과 시간 분해능을 한 이미지 내에서 제어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구조화 조명 현미경은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한 광학 현미경이다.

방충망처럼 작은 무늬로 이뤄진 구조체 두 장을 겹친 상태로 움직이면 표면에 어른거리는 ‘간섭무늬’가 생기는데, 물질에 조사하는 빛의 파장 형태와 만들어진 간섭무늬의 형태를 알면 이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물질의 미세 구조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간섭무늬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방식이라 1장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는 데 여러 장의 이미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순간 현상을 포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박 교수팀은 촬영하려는 영역의 특성에 맞춰 선택적으로 빛의 진폭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를 통해 암세포를 배양하는 유체(움직이는 액체)의 흐름과 세포의 미세 변화를 동시에 초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짧은 순간을 포착해야 하는 유체 영역은 높은 시간 분해능을 갖는 진폭 패턴을, 더 또렷한 이미지가 필요한 세포 부분은 공간 분해능을 갖도록 하는 진폭 패턴의 빛을 쪼인 것이다.

그간 일반 해상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을 관찰하거나 초고해상도로 미세한 구조를 가진 영역을 관측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한 화면에서 이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은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서로 다른 시·공간 스케일의 생명 현상을 동일 현미경으로 한 이미지 내에서 동시에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미세 유로 채널 관련 연구나 높은 시간 분해능이 필요한 칼슘 신호 전달 등 각종 생명·물리 현상 관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광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인 ‘옵티카'(Optica)에 8월 10일 자로 공개돼 20일 정식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포스코청암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16)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5QFodHRwczovL3d3dy5zY2llbmNldGltZXMuY28ua3IvbmV3cy8lRUMlQTAlOTUlRUMlQTclODAtJUVEJTk5JTk0JUVCJUE5JUI0JUMyJUI3JUVCJUFDJUJDJUVDJUIyJUI0LSVFQyU5QiU4MCVFQyVBNyU4MSVFQyU5RSU4NC0lRUIlOEYlOTklRUMlOEIlOUMtJUVBJUI0JTgwJUVDJUIwJUIwJUVEJTk1JTk4JUVCJThBJTk0LSVFQSVCNCU5MSVFRCU5NSU5OS0lRUQlOTglODQlRUIlQUYlQjglRUElQjIlQkQv0gEA?oc=5

2020-08-18 22:08:00Z
52782635484869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